Information system

ERP system - CH1

yudam 2022. 4. 25. 10:33

Objectives

 

ERP Essentials

💡
기존의 legacy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해 관리하는 시스템.
  • 통합 시스템으로 전체 enterprise의 needs를 지원
  • Key operations(주요업무)의 모든 측면 강화하기 위해 고안됨
  • 기업 전체의 요구에 적합한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
  •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여러부서에 걸쳐있으며, 조직을 넘어 파트너, 공급업체, 고객과도 정보를 공유함

ERP feature

  • Cross-Functional

—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것 지원

  • Process-centered

— 조직의 비즈니스 과정에서 clear, complete, logical, precise한 관점을 가능하게 함

ERP modules

  • 모듈은 ERP 시스템의 특정 비즈니스 기능을 그룹화한 SW 구성요소 세트
  • ERP software은 유동적임
    • Distribution company가 인벤토리 모듈을 구입
    • 나중에 모듈을 추가 구매할 수 있음
  • module design 형 ERP 공급 업체 장점 : 특정 산업에 대한 제품 주문을 한번에 처리
  • core ERP는 전형적인 ERP 시스템. 재무, 인적 자원 관리, 운영관리 등 모듈을 포함하며, 다양한 서브 모듈을 제공함
    • financial suite: accounts receiable(미수금), accounts payable(미지급금) 등
    • HCM suite: payroll(급여 대상), personnal management

Front office and back office

  • 일반적으로는 ERP 시스템은 back offic를 중심으로 지원하나, 현대에는 front office까지 아우르고 있음.
    • extended ERP(확장된 ERP) : CRM, SCM, analytics, product life cycle, 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modules 등등

 

Typical modules for a manufacturing company

  • operations (core)
  • financials (core)
  • projects
  • human resources (core)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plus : various self-service interfaces for customers, suppliers, employees

 

Stakeholder

  • end user(일반 사용자) - 각각 업무에서 매일 erp 시스템 사용
    • purchasing
    • manufacturing
    • sales
    • accounts/finance
  • auditor (감사관)
    • financial state auditor : 연례 회계 감사를 하려면 클라이언트의 erp system을 이해해야함. ERP를 통해 genral ledger 같은 보고서 얻음
    • internal auditor : inter control practice에 전문지식을 제공하며 조직이 erp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움
    • IT auditor : ERP 시스템의 application controls 성능을 검증. application controls에는 규제 제어 기능이 포함되며, 데이터의 accuract, reliability, security를 유지함

    • purchase orders(구매 주문서), goods receipt note(물품 수령증), invoice(송장) 을 매칭하는 것
      • 거래는 이익과 손해가 생기기 때문에 전체 생산과정에 영향을 미침. 특히 client, supplier 등과 거래가 많으면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3-way 매칭이 효과적.
      • 이를 통해 fraud를 줄이고 audit trail에 대한 적절한 record 유지가 가능해짐
  • +) Three-way matching
  • System implementers
    • erp 실행 중에 수많은 활동이 이루어지는데, 프로그래밍 스킬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다.
    • SW 개발자는 기술은 알지만 비즈니스에 대해 모른다.
    • ERP 컨설턴트(change agents)는 고객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선택된 erp 패키지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다. 이들은 조직 변화에 조력자가 된다.

When does a company need an ERP system?

  • 많은 비즈니스 문제들을 해결하기 때문이다!
    • 왜 고객이 불만족하는가?
    • 왜 정기 납품일을 놓치는가?
    • 왜 생산요구사항을 정확히 예측하고 계획할 수 없는가?
    • 왜 shipping cost가 비싼가?
  •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할 때
  • 성장세 노젓기 - 시스템 없이는 많아지는 거래량을 따라잡기 힘들다
  • 기능적으로 발전 - 구형 시스템은 새로운 비즈니스 절차를 다루기 힘들다
  •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중일 때 - IT 유지보수가 힘들다

 

Advantages of ERP systems

  • data integration (데이터 통합)
    • 모든 부서의 데이터에 대한 중앙 집중식 리포지토리를 유지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여 오류를 줄이고 데이터 정확도를 높임
    • ERP 시스템은 데이터를 한 번 캡쳐하고 전사적으로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따르는데, 이렇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과 오류가 줄어듦. → 오류 수정 프로세스가 단순화되면 데이터 확인, 조정에 낭비되는 시간을 줄어듦
  • real time access to information (정보에 실시간으로 액세스)
    • ERP은 일단 데이터가 입력되면 온라인으로 실시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collaboration과 communication 개선
    • paper work를 줄여 일과 일 사이의 시간 지연을 줄여줌
    •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개선, productivitiy,insight 제공. 최적화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 best practice (모범사례)
    • ERP vender는 industry best practice를 중심으로 솔루션 설계. 여기서 best practice(모범사례)란 다른 industry보다 효율적이라고 여겨지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퀄리티를 보장하는 것이다.
    • 기업이 ERP 패키지를 선택할 때, best practice에 대한 공급업체의 관점과 SW를 구입한다.

 

Disadvantage of ERP systems

  • ERP 시스템 구현은 단순히 기성 SW를 설치하는 것보다 많은 작업이 필요함.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임.
  • 구현 과정에서 soft stuff(사람 관련 문제) 또는 technical stuff(SW/HW문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off-the-shelf SW(기성품 SW)는 표준화된 SW 어플리케이션으로, 대량생산, 대중이 사용가능하고, 즉시 사용하기에 알맞다.
  • 직원들이 교육받지 않으면 ERP 시스템을 구축해봤자 사용하지 않음
  • 직원들이 legacy system에 익숙해져 도입하기 쉽지 않음
  • 성공적인 ERP 시스템 도입을 위해 조직이 관리구조를 바꿔야함
  • 조직 변화에 부정적인 이들이 시스템 사용을 방해
    • Example of sabotage: FoxMeyer Drug 1990년대, 새로운 ERP 시스템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한 폭스마이어의 근로자들이 inventory를 손상시킴. shrinking in inventory.

 

ERP evolution and trends

  • 1960s - inventory management / control packages 활용해 inventory 관리
  • 1970s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MRP) 시스템으로 발전
    • MRP란? 생산작업&원자재 구매 스케줄 생성
  • 1980s - 제조회사를 위한 운영 및 재무 계획을 통틀어 고려하는 MRP2로 발전.
  • 1990s - MRP2가 ERP로 발전
    • MRP2가 제조업에 특화된 반면 ERP는 전체 기업을 관리
    • MRP2가 standalone applicaion(독립형) 이라면 ERP는 MRP2에 추가로 다른 모듈로 구성됨
  • 2000s - extended ERP
    • SCM(supply chain management,공급망 관리),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고객관계관리) 같은 추가적인 모듈까지 통합 관리

ERP market vendor tier

erp vendor는 1) complexity, 2) cost, 3) industry coverage, 4) vendor size, 5) supporting global 요소를 다루는지로 분류할 수 있다.

 

  • Tier 1 Vendor - enterprise space, multi site, 다국적 기업, 1,000+ employees 정부 기관
    • high complexity (고복잡도)
    • highest cost of ownership (최고 비용)
    • many industry solutions (많은 산업 솔루션)
    • handling with large companies (대기업을 다룰 수 있음)
    • global functionality (글로벌 기능)
    • SAP(제조업, 석유, 가스, 화학에 강세), Oracle(서비스, 정부, 통신, 유틸리티에 강세), MS 등
  • Tier 2 Vendor - market towards medium sized companies, few sites, 250-1000 employees
    • medium complexity
    • medium cost of ownership
    • fewer industry solutions (더 적은 산업 솔루션)
    • handling with mid-market companies (중견기업 다룰 수 있음)
    • global functionality(글로벌 기능)
    • Fujitsu, NetSuite 등
  • Tier 3 Vendor - Market towards small, single site, family run corporations, sales under $50 million, ~250 employees
    • limited functionality (제한된 기능)
    • lowest cost of ownership (적은 비용)
    • fewest industry solutions (가장 적은 산업 솔루션)
    • handling with small to mid-sized companies (중소기업 다룰 수 있음)
    • few-locations (적은 지역)

Modern ERP Select, Implement, and Use Today's Advanced Business Systems - Third edition 정리

'Information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ormation security(1) - security & privacy & terminology  (0) 2022.05.26
ERP system - CH5  (0) 2022.04.25
ERP system - CH4  (0) 2022.04.25
ERP system - CH3  (0) 2022.04.25
ERP system - CH2  (0)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