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language & literature 4

[화용론] 4. 대화함축

💡 대화함축은 전제, 함의와 달리 화맥(맥락)이 주어져야 적절한 추론이 가능하다. 앞선 두개가 의미론의 영역이었다면, 함축은 화용론의 영역. 이 장에서 다룰 내용 대화함축의 개념 대화함축의 특성 격률준수에 따른 대화함축의 유형 맥락에 따른 대화함축의 유형 1. 대화 함축의 개념 정의 대화함축이란, 주어진 발화로부터 추론으로 끌어낼 수 있는, 실제로 말해진 것 이상의 의미 전제, 함의와는 구분 언어현상에 대한 화용론적 설명의 예 화맥을 통해 추론되는 것 그라이스에 따른 대화 함축의 조건 화자는 대화격률 또는 협력 원칙을 준수한다. 이 가정을 유지하면서 화자가 함축되는 x를 생각한다고 가정 화자는 첫번째 가정을 보존하기 위해 x가 필요하다는 것을 청자가 추론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대화참여자 모두가 알고 ..

[화용론] 3. 전제와 함의

💡 전제와 함의는 논리 의미론에서 다루어진다. - 함축에 비해 맥락없이 가능 1. 전제 정의 : 발화 성립에는 영향이 없지만, 반드시 가정되어야하는 배경적 내용 전제의 특성 - (1추론성, 2부정에서의 일치성, 3질문에서의 일치성, 4부정 부적정성, 5취소성) 추론성 - 화자와 청자가 자연스럽게 추론할 수 있다. ex) 소영아, 내가 오늘 모임에 나가지 못한다고 현진이에게 말해줘. 나와 현진이는 서로 아는 사이다 나는 오늘 소영이와 함께 현진이와 만나기로 되어있다. 내가 모임에 나가지 못하는 것을 소영이가 현진이에게 말해줄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그러나 항상 이렇게 쉽게 추론되는 것만은 아니다. 부정에서의 일치성 - 부정해도 전제는 유지된다는 뜻 ex) 순이의 인형은 비싸다 순이에게는 인형이 있다 (전제..

[화용론] 2. 화용론의 특성과 연구영역

💡 ‘화용론의 특성과 등장배경’ , ‘화용론의 연구 대상’, ‘화맥계산’을 알아보자. 이들을 통해 화용론의 언어학적 가치를 알고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1. 화용론의 특성과 등장배경 화용론의 특성 - 1연구대상, 2타 학문과의 차이, 3실용성 연구대상에 의한 특성 화용론은 ‘대화’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한다. 대화는 통사론의 최대단위인 ‘문장’보다 더 큰 단위를 다룬다. 즉 언어학 중 가장 큰 연구 단위를 가진다. 화용론은 다음을 다룬다. 직시 전제와 함의 대화함축 화행 공손 대화구조 발화전략 타 언어학과의 차이점 문장 밖의 상황, 발화자의 의도나 전략과 같은 요소를 살피고 성공 여부를 판명하고, 숨은 규칙성을 찾는다. 즉, 기존 언어학이 문법에만 집중하던 것에 비해 실제적인 면을 다룸! 언어..

[화용론] 1. 이상적 발화 모형을 통한 화용론 조망

💡 화용론이란? 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대화란? 둘 이상의 대화 참여자가 어떤 화제에 관해 의사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화용론은 자연언어 속 발화를 연구하므로 타 언어학에 비해 실제적이다. 그래서 화용론을 Pragmatics(실용론) 이라고도 한다. 1. 화용론의 태동과 연구목적 음운론, 통사론, 의미론같은 타 언어학은 ‘문장’이 최대단위다. 그러나 우리가 ‘언어’라고 하는 것은 문장을 넘어 발화나 대화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용론은 우리의 언어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화격률, 발화전략, 공손 등을 다룬다. 따라서, 화용론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실제적 의사 소통에 도움을 주는 것 대화를 잘하게 하는 것 대화를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 : 대화 참가자가 단 한 사람이..